해체공사 감리업무 매뉴얼② 공사시행 전 단계⑨
2.3 - 사례 이미지 (계속)
6) 환경관리 계획
가) 소음, 진동 등의 관리
(1) 소음, 진동 관리
(가) 건축물의 파쇄 및 낙하 등 해체공사 중 발행하는 소음,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소음, 진동 및 비산먼
지 저감대책 수립계획을 확인
------------------------
■ 장비운용 계획 수립확인
- 관련근거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20조제3항
(1) 해체장비 및 공법별 소음, 진동발생 정도를 예측한 결과에 따라 이동식 방음벽, 컴프레셔, 발전기, 소음,진
동 측정기 설치 등 장비운용 계획 확인
■ 저소음, 저진동 공법 계획 확인
(1) 건축물 파쇄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비사용 및 공법을 계획하여야 하며 그 외 소음,진
동 저감시설 설치에 대한 종류, 수량, 위치등의 계획 확인
■ 잔재물 투하에 의한 소음, 진동 저감 계확 확인
(1) 고층부에서 해체작업 시 잔재물을 지상으로 투하하여 반출하는 경우에는 잔재물이 투하되는 바닥에 폐타
이어, 완충메트를 설치하는 등 잔재물 파편에 의한 피해방지 및 소음저감 계획 확인
■ 비산먼지 방지 조치 및 살수 계획 확인
(1) 해체작업 중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살수작업 시 수도 사용, 이동식 살수장비,세륜기 위치 및 상차 시 비산
먼지 방지대책 등의 계획 확인
■ 집수, 처리 및 그 외 수질오염 저감,방지에 관한 계획
(1) 살수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폐수는 침사지 등을 통해 상등수만 방류하는 등의 집수,처리 및 그 외 수질
오염 저감,방지에 관한 계획 확인
■ 오염토에 대한 반출정화 계획
- 관련근거 :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9조의2 (별지 제9호의2)
(1) 해체공사장 내 기름저장탱크로부터 누유 등으로 토양이 오염된 경우 오염토에 대한 반출정화계획 제출 확
인
■ 민원 조치 계획
(1) 위험요인 발생가능 공종 및 피해 예상범위를 설정하고 공종 착수 전 주민사전 설명회 개최 등 민원을 최소
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하며 민원 발생 시 협의 및 보상조치에 관한 계획 확인
-------------------------
▷ TIP
- 소음기 측정기 설치 위치 등 현장과 비교하여 적절히 배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TIP
- 잔재물이 투하되는 위치를 확인하고 피해 방지 및 소음저감 계획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 TIP
- 해체장비 소음과 해체작업으로 인한 소음발생 등의 저감방안이 적정한지 확인한다.
- 소음저감을 위해 안전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도면과 관련 기준을 준수하여 계획이 수립되었는지 확인
한다.
ⅰ. 소음, 진동 규제기준 준수 (주기적으로 소음, 진동, 진동속도 측정)
ⅱ. 소음, 비산먼지 억제 조치기준 준수 (방음, 방진벽 설치, 해체 작업 시 살수 실시)
- 살수로 인한 오염수가 발생할 경우, 배수로 확보 등 조치계획이 적정한지 확인한다.
ⅰ. 오염수 유출 방지를 위해 필요 시 침사지 설치,운용
ⅱ. 굴착 전 오수처리시설의 청소 (오수는 정화조 업체에 위탁 처리 등)
ⅲ. 굴착 시 오염토양 발견 시 발주처에 보고 후 토양오염 신고 등 관련 조치
ⅳ. 굴착 전 유류, 페인트 등 지정폐기물 수거 및 적정 처리
- 해체방법 등으로 인한 인접건축물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 수립 여부를 확인한다.
ⅰ. 잔재물 투할호 인한 인근 건축물 피해 여부 최소화
ⅱ. 해체 전 인접건물 및 도로 등에 대한 균열, 침하 등 조사 실시
ⅲ. 해체 전 주민설명회 및 주민들에게 공사 내용 공지
▷ TIP
- 살수계획이 현장과 비교하여 적절히 배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TIP
- 살수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폐수 등의 집수,처리 등 수질오염 저감,방지계획을 확인한다.
▷ TIP
- 필요 시 주민 사전 설명회 등 민원 최소화를 위한 계획이 수립되었는지 확인한다.
- 민원 접수 및 대응 계획을 확인한다.
나) 해체물 처리 계획
(1) 해체물 처리 계획
(가) 해체 폐기물 분리 및 처리를 위해 해체물 처리계획 확인
------------------------
■ 사업장 폐기물배출자의 의무 등 이행계획
- 관련근거 '폐기물관리법' 제17조
(1) 해당 현장의 지정폐기물 여부 및 폐기물 발생량을 확인하여 폐기물 배출 방법 등 폐기물 처리 계획을 수립
확인
■ 폐기물 분쇄, 소각, 매립 등 구분 배출 계획
(1) 폐기물 처리계획 수립 시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지침에 따른 분이계획과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방
지에 대한 계획을 포함
■ 잔재물 등 발생 폐기물에 대한 보관, 수집, 운반 및 처리 계획
(1) 발생 폐기물에 대한 분류 기준 및 분유에 따른 임시보관 계획과 해당 폐기물에 대한 운반 시 사용장비, 운
반동선 등에 대한 도명화된 계획 확인
(2) 폐기물을 수집, 운반, 보관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이 흩날리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조치계획 확인
(3) 폐기물 임시보관 및 위반동선 계획 시 폐기물을 건물 내부에서 지상층 임시 야적장으로 반출을 위한 고려
사항 확인
- 반출 중 잭서포트, 엘리베이터 벽체 (엘리베이터 수직통로(shaft)를 잔재물 투하구로 이용할 경우) 등 간
섭여부
(4) 임시야적장에서 공사장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필요시 구조체의 안전성 검토 및 주변 교통대책을 포함한
반출계획
(5) 현장여건에 의해 임시야적장을 운영하기 힘든 경우에는 수시로 잔재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별도의 계
획을 수립
■ 해체공사 폐기물 최종 처리상태 확인 계획
■ 건설폐기물 처리계획 신고증명서, 인계서 등 기록관리 계획
(1) 폐기물 처리와 업체 선정 방안
- 적격 폐기물 업체 선정 방안
- 폐기물 성상별 분류 및 선별 방안
- 폐기물 업체 위탁, 관리, 반출 및 처리방안
- 성상별 1일 반출량 기록, 누계관리 방안
- 건설폐기물 처리계획 신고증명서 및 인계서 등 기록관리에 관한 사항
- 폐기물 최종 처리상태 확인 담당자 지정에 관한 사항
-----------------------
▷ TIP
- 해체 폐기물이 방생하면 적절한 시점에 배출이 되도록 공정계획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한다.
- 해체 폐기물의 분리배출계획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TIP
- 폐기물 배출방법 및 절차에 따라 적정하게 처리계획이 수립되었는지 확인한다.
▷ TIP
- 잔재물 → 임시적치장 → 폐기물 운반 등의 폐기물 처리계획이 적정하게 수립되었는지 확인한다.
▷ TIP
- 임시적치장 내 폐기물의 성상별 분리, 보관 및 환경오염 방지조치 등의 계획을 확인한다.
▷ TIP
- 작성된 폐기물 성상별 분류 및 선별방안을 확인한다.
해체공사 감리업무 매뉴얼② 공사시행 전 단계⑦
2.3 - 사례 이미지 (계속) (5) 발코니, 캐노피 등 돌출부 피해방지 계획 (가) 발코니, 캐노피 등 선 해체 계획 검토 (나) 그 외 피해방지를 위한 보강대책 검토 --------------------- ■ 주요 확인
bgdt.tistory.com
해체공사 감리업무 매뉴얼② 공사시행 전 단계⑧
2.3 - 사례 이미지 (계속) (나) 살수작업자 및 유도자 추락방지 등의 안전관리 계획 검토 (a) 장비작업 시 충돌방지에 관한 사항 검토(b) 살수작업자 충돌방지에 관한 사항 검토(c) 추락사고 방지
bgdt.tistory.com